-
기술면접 자료 정리 - 네트워크 (1)old/면접 2020. 5. 10. 19:19728x90
네트워크를 준비하면서
나는 학부때 네트워크 관련 수업만되면 그렇게 도망을 갔다. 하하;; 이제 벌을 받는중
질문 & 정리(Mostly links that I used)
1. 이더넷과 맥주소: 내가 참고한 자료가 설명이 굉장히 간략하고 좋다
- 이더넷: 컴퓨터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한 방법, 이더넷은 맥주소를 사용해서 통신을 하게 해준다
- 맥주소: 기기의 랜카드에 부여되는 고유한 값이다(이건 전세계에 하나밖에 없다), OSI 7 계층 중, 제 2계층인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사용된다.
2. TCP와 UDP: https://djvaspirit.tistory.com/23?category=666385
- TCP: 연결지향적이고 신뢰성있음
- UDP: 비연결 지향적이고 데이터 손실 발생이 가능함
데이터 손실이 발생해도 되는 VoIP(인터넷 전화) 그런데 사용된다. 게임의 서버-클라이언트도 UDP이다. 즉, 빨리빨리 실시간이 보장되야하는건 UDP로 한다. (TCP가 좀 더 느리다.)
* 신뢰성이 있다 -> 재전송 가능(손실 된것을 파악할 수 있음), 재전송할때 시퀀스 넘버와 ack넘버를 확인한다고 함
3. 3way-handshaking(연결 만들때)과 4way-handshaking(연결 끊을때):https://djvaspirit.tistory.com/23?category=666385
- 3way-handshaking: TCP/IP프로토콜을 쓸때 세션을 만들때 쓰는 방법이다.
- 4way-handshaking: 세션을 종료할 때 쓰는 방법이다.
그런데 서버에서 fin을 전송하기 전에 클라이언트로 보낸 패킷이 fin보다 늦게 도착해서, 클라이언트가 먼저 종료를 해버리면, 패킷이 drop되고 데이터가 유실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것 떄문에 클라이언트는 TIME_WAIT 라는 것을 하는데, 이것은 세션을 남겨놓고 잉여패킷을 기다리는 과정을 말한다.
출처: https://djvaspirit.tistory.com/23?category=666385%EF%BB%BF https://mindnet.tistory.com/entry/%EB%84%A4%ED%8A%B8%EC%9B%8C%ED%81%AC-%EC%89%BD%EA%B2%8C-%EC%9D%B4%ED%95%B4%ED%95%98%EA%B8%B0-22%ED%8E%B8-TCP-3-WayHandshake-4-WayHandshake https://mindnet.tistory.com/entry/%EB%84%A4%ED%8A%B8%EC%9B%8C%ED%81%AC-%EC%89%BD%EA%B2%8C-%EC%9D%B4%ED%95%B4%ED%95%98%EA%B8%B0-22%ED%8E%B8-TCP-3-WayHandshake-4-WayHandshake TCP에 대해서 여기서 잘 정리해둠
4. Get방식 vs Post 방식:https://djvaspirit.tistory.com/23?category=666385
- Get: 주소에 서버에서 사용될 키워드 같은게 포함이 된상태로 전송한다. 그래서 보안이 떨어진다.
- Post: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에서 값이 인코딩되어 헤더를 통해 서버로 전송되고, 디코딩된다. 전송데이터 양이 커도 되고(get은 URI에 포함이 되니 길이가 제한이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갱신 할때 사용된다. 속도는 Get방식보다는 느리지만 보안성이 좋다.
5. 방화벽이란? 네트워크 방화벽 / 웹 방화벽이 있다. https://djvaspirit.tistory.com/23?category=666385
- 신뢰 수준이 다른 네트워크 구간사이에 낮은 수준에서 오는 트래픽을 신뢰수준이 높은 네트워크로 못오게 벽을 세우는 것이다.
- 네트워크 방화벽은 OSI 3계층(네트워크, IP), 4계층(전송, TCP)에서 동작하여 패킷이 정상적이고 올바른건지 확인한다. 비정상적인 사용자의 접근을 막고, 불필요한 접근을 최소화하고, 네트워크 비용을 줄인다.
- 웹 방화벽은 OSI 7계층(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URL이 정상적인지 확인한ㄷ. 이걸로 손쉬운 세션과 로그관리를 할 수 있고, 개발자의 프로그램 상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웹서버의 부하를 줄여준다.
6. DNS(Domain Name System)이란? https://djvaspirit.tistory.com/23?category=666385
IP 주소를 사람이 기억하기 편한 네이밍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것.
호스트 도메인 이름 -> 네트워크 주소
네트워크 주소 -> 호스트 도메인 이름
이 두 작업을 한다.
7. 패킷이란? https://djvaspirit.tistory.com/25?category=666385
데이터의 묶음 단위로 한번에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
8. 트래픽이란? https://djvaspirit.tistory.com/25?category=666385
웹사이트에 방문하는 사람들이 주고받은 데이터의 양
9. 쿠키 vs 세션: https://djvaspirit.tistory.com/25?category=666385
- 쿠키: 서버측에서 클라이언트측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추출할 수 있는 매커니즘,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할때마다 웹브라우저로부터 서버로 전송되서 정보가 유지되게 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하드에 저장된다.
- 세션: 클라이언트와 웹서버 간에 계속 연결이 유지되고있는걸로, 각각의 클라이언트마다 고유의 ID를 부여. 세션 객체가 서버에 있고, 그걸 이용해서 각 클라이언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함. 그리고 서버에서 처리하기때문에 보안성이 더 좋은데, 좀 더 느림
- 둘의 차이: 저장되는 곳이 다름 - 쿠키(하드), 세션(서버),
10. 목적지가 같은 네트워크 인경우 패킷이 목적지 까지 도착하는 법? https://djvaspirit.tistory.com/25?category=666385
목적지가 같은 네크워크면 브로드 캐스팅을 해서 목적지의 MAC주소를 알아온후, 2계층(데이터링크 계층)의 목적지 주소로 캡슐화한 후 패킷을 전송함
11. 목적지가 다른 네트워크 인경우 패킷이 목적지 까지 도착하는 법? https://djvaspirit.tistory.com/25?category=666385
목적지가 다른 네트워크에 위치한 경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해당 네트워크 게이트 웨이 장비의 MAC주소를 알아온후, 거기로 패킷을 전송한다.
12. 서브네팅과 서브넷 마스크: https://limkydev.tistory.com/166
- 서브네팅: 주소를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는것
- 서브넷 마스크: 어떤 부분이 네트워크 부분인지 알수있게 표시하는거
C클래스면 255.255.255로 앞에 부분어디까지가 네트워크 주소인지 AND연산으로 구할 수 있다.
13. VPN vs 프록시 서버? https://djvaspirit.tistory.com/25?category=666385
- VPN: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해 특정 집단만 사용 가능한 작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술이다. 인터넷 회선을 암호 화된 규격을 통해 개인 전용선처럼 끌어다 쓴다. (프록시 서버보다 강력한 익명성으로 IP우회가 가능해진다.)
- 잘 모르겠는데 그렇단다.
방화벽, 프록시 서버, vpn 의미와 차이
*패킷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쉽도록 자른 데이터의 전송 단위 ● 방화벽 (Firewall) 방화벽은 네트...
blog.naver.com
https://dany-it.tistory.com/115
Proxy와 VPN의 차이점
Proxy와 VPN의 차이점 이번 포스팅은 Proxy와 VPN의 차이점에 대해 하겠습니다. Proxy와 VPN은 비슷한 기능을 하고 있지만 차이점이 있습니다.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선 포스팅..
dany-it.tistory.com
14. 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점?
출처 어디지..? 스위치는 그냥 맥 주소대로 보내주는거고(2계층 데이터 링크 층을 위한 장비), 라우터는 3계층 네트워크 층을 위한 장비로 수신한 패킷을 보고 경로를 설정하여 패킷을 전송하는 역할을 함
15. 나머지: https://91ms.tistory.com/5
#4 신입 프로그래머 기술(실무) 면접준비 [네트워크]
OSI 7 Layer와 각 계층에 대한 설명을 해보아라 OSI 7 Layer 란 통신 접속에서 완료까지의 과정을 7단계로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물리계층 : 전송하는데 필요한 기능��
91ms.tistory.com
여기에 넘 정리 잘되있다.
16. 여기에는 IP, TCP 에 대한 정보가 정리 되어있다.
https://eastroot1590.tistory.com/entry/socket-TCPIP%EB%9E%80
'old > 면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2021 공채 코딩테스트 후기 (0) 2020.09.12 CJ 올리브 네트웍스 테스트 전형 후기 (4) 2020.07.05 기술면접 자료정리 - 네트워크(0) (0) 2020.05.10 기술면접 자료정리 - 네트워크(2) (0) 2020.05.10 기술면접 자료정리 1 - AWS 제품 훑기 (0) 2020.05.09